propensity score matching 썸네일형 리스트형 [Observational Studies] Propensity Score Matching(PSM)과 Endogeneity의 관계 Experiment가 인과추론의 Gold Standard이지만, 실무에서는 관측데이터로부터 인과추론을 해야할 경우가 존재한다. 그 중에서 Matching 방식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본다. 1. Propensity Score Matching(PSM)과 Endogeneity의 관계2. Propensity Score Matching이 Endogeneity를 어떻게 낮출 수 있는가? 1. Propensity Score Matching(PSM)과 Endogeneity의 관계PSM은 처치를 받을 확률, 즉 propensity score를 사전에 모델링한 후, 그 확률이 유사한 관측치들끼리 매칭하는 방법이다. 이렇게 하면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이 공변량 기준으로 유사해지기 때문에, 비교 가능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. .. 더보기 이전 1 다음